건강정보

4편 노년기를 위한 식생활 가이드

노년기, 신체 변화 및 건강 식단의 중요성

노년기(65세 이상)에는 우리 몸의 각 신체기관들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욕이나 소화 기능이 떨어지고 음식의 맛과 향에 둔해지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식사 섭취량이 줄어들게 되고 영양상태도 나빠지기 쉽습니다. 또한, 활동량과 운동량이 줄어듦에 따라 근감소증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올바른 식단 관리를 통해 영양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영양소별 "영양 섭취 부족 및 과다" 노인 비율

경고[출처 - 한국영양학회,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및 활용 연구」 결과보고서, 2018. 11.]
* 영양소별 섭취 실태 : 평균필요량 대비 단백질, 칼슘 섭취 부족, 목표섭취량 대비 나트륨 섭취 과다

노년기 식단에 고려해야 할 어르신의 특성

  1. 에너지 요구량 감소
    • 나이가 들면서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고 활동량이 줄어 에너지 요구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체중이 증가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건강 체중 유지를 위해 적당량 섭취가 중요합니다.
  2. 소화능력 감소
    • 소화액 분비가 저하되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소화하기 어려우므로 조금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저작 불편
    • 우리나라 75세 이상 어르신의 절반은 저작불편을 호소합니다. 따라서, 딱딱한 식재료를 부드럽게, 식재료의 크기도 작게 합니다.

    저작불편호소율

    75세 이상 50.8% / 65세 ~ 74세 42.1%

    주의 [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 - 2012)

  4. 침 분비 감소
    • 침 분비가 줄어들게 되므로 약간의 국물이 있거나 재료가 촉촉하도록 조리하는 것이 좋지만, 국물이 너무 많으면 나트륨 섭취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싱겁게 조리하도록 합니다.
  5. 감각기능 퇴화
    • 미각, 후각 등 감각기관이 퇴화하여 짜게 먹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향신료를 이용하여 입맛을 돋우도록 합니다.
  6. 식욕 저하
    • 영양섭취 부족의 주원인 중 하나가 식욕저하입니다. 식욕이 저하되지 않도록 식재료의 향, 색, 모양을 다양하게 합니다.

노년기 건강 식습관

각 식품군을 매일 골고루 먹어요.

고기, 생선, 계란, 콩 중 하나 이상 매일 먹으며, 다양한 채소 반찬, 우유제품이나 두유, 제철 과일을 매일 먹습니다.

계절에 주로 먹을 수 있는 식품
계절에 주로 먹을 수 있는 식품 -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정보를 제공
수산물 가자미, 꽃게, 모시조개. 바지락, 삼치, 아귀, 오징어, 주꾸미, 청어, 홍합, 미역
채소류 근대, 깻잎, 냉이, 달래, 돌나물, 미나리, 본동, 부추, 시금치, 쑥, 연근, 참취, 파래, 얼가리, 표고, 호박
과일류 딸기, 사과, 오렌지, 참외, 토마토
여름 수산물 갑오징어, 꽁치, 낙지, 대구, 모시조개, 바지락, 병어, 새우, 아귀, 오징어, 전갱이, 다시마
채소류 가지, 감자, 근대, 깻잎, 느타리, 부추, 아욱, 양송이, 얼가리, 열무, 오이, 풋고추(꽈리고추), 호박
과일류 방울토마토, 수박, 토마토, 복숭아, 자두, 포도
가을 수산물 갈치, 고등어, 꽁치, 꽃게, 대구, 대하, 바지락, 삼치, 오징어, 전갱이, 전어, 조기, 다시마
채소류 가지, 갓, 고구마, 근대, 깻잎, 다시마, 부추, 아욱, 알타리무, 얼가리, 연근, 열무, 양송이, 호박
과일류 배, 감, 사과
겨울 수산물 가자미, 굴, 꼬막, 낙지, 대구, 방어, 삼치, 새우, 아귀, 양미리, 오징어, 조기, 청어, 바지락, 홍합, 미역, 파래
채소류 갓, 고구마, 냉이, 달래, 시금치, 연근, 포고
과일류 감, 감귤, 배, 사과, 오렌지

주의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다양한 색의 식품 사용

검은 콩, 검은 깨, 검은 쌀 등 / 당근, 호박, 고구마, 감, 바나나 등 / 시금치, 깻잎, 부추, 브로콜리 등 / 마늘, 양파, 양배추, 도라지 등 / 토마토, 딸기, 석류, 파프리카, 복분자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어요.

음식을 싱겁게 먹습니다. 국물을 적게 먹고 식사할 때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양념 향신료류의 소금 함량별 구분
양념 향신료류의 소금 함량별 구분 - 소금 함량이 적은 양념, 향신료류, 소금 함량이 많은 양념, 향신료류 순으로 정보를 제공
소금 함량이 적은 양념, 향신료류 소금 함량이 많은 양념, 향신료류
천연조미료 버섯가루, 멸치가루, 다시마가루, 북어가루, 들깨가루 등 장류 간장, 고추장, 된장, 청국장
향미채소 무, 양파, 고추, 마늘, 생강, 미나리, 쑥갓 등 소스류 마요네즈, 머스터드 소스
기타 식초, 매실청, 유자청 등 기타 소금, 깨소금, 다시다

주의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사는 규칙적이고 안전하게 먹어요.

세 끼 식사를 꼭 하며, 외식할 때는 영양과 위생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오래된 음식은 먹지 않고 신선하고 청결한 음식을 먹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이 필요한 경우는 신중히 선택하도록 합니다.

물은 많이 마시고 술은 적게 마셔요.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충분히 마셔주며, 술은 하루 1잔을 넘기지 않되, 술을 마실 때에는 다른 음식과 같이 먹습니다.

활동량을 늘리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해요.

나를 위한 건강 체중을 알고 이를 갖도록 노력하며,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고 가능한 한 많이 움직이도록 합니다. 매일 최소 30분 이상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과 일주일에 최소 2회, 20분 이상의 근육운동을 합니다.

체질량지수(BMI) = 몸무게(kg) / 키(m)²
체질량지수(BMI) = 몸무게(kg) / 키(m)² - 단계,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순으로 정보를 제공
단계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범위 18.5 미만 18.5 ~ 22.9 23.0 ~ 24.9 25.0 ~ 29.9 : 1단계
30.0 이상 : 2단계

주의 [출처 - WHO 아시아 태평양 기준·대한비만학회]

예시

  • 170cm(1.7m)
  • 체중 70kg
  • 계산 70kg/(1.7m x 1.7m) = 70/2.89 = 24.2

운동 예시

유산소 운동 예시

경고 [출처] 질병관리청

근력 운동 예시

경고 [출처] 질병관리청

유연성 운동 예시

경고 [출처] 질병관리청

균형 운동 예시

경고 [출처] 질병관리청

소중한 삶, 건강한 식습관에서부터!
균형 잡힌 식생활이 활기찬 노년을 만듭니다.

주의 [참고자료] 『식생활 및 건강관리 가이드북』, 국립보건연구원(2025.04) / 『어르신을 위한 함께하는 건강 식사 길라잡이』, 식품의약품안전처(2015.09)

담당자 정보

콘텐츠 정보관리
  • 담당부서 보건위생과 건강도시기획팀
  • 연락처 02-351-8157

주의 최종수정일2025.09.09